맨위로가기

공빈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빈 김씨는 조선 선조의 후궁으로, 임해군과 광해군을 낳았다. 1553년 김해 김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선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산후병으로 사망했다. 사후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공성왕후로 추존되었으나, 광해군 폐위 후 왕후 자격을 박탈당했다. 현재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성묘에 있으며, 드라마 《허준》 등 여러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7년 사망 - 에리크 14세
    에리크 14세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 바사의 맏아들로, 외국어와 학문에 능통했으나 귀족과의 갈등, 정신 질환, 동생에게 폐위된 후 독살되었으며, 발트해 팽창 정책을 펼쳤다.
  • 1577년 사망 - 이스마일 2세
    이스마일 2세는 타흐마스프 1세의 아들이자 사파비 왕조의 샤로서, 왕자 시절 오스만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투옥되었고, 권력 투쟁 끝에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와 종교 정책 변경을 시도했으나 급사했으며, 예술적 재능을 가진 인물이기도 하다.
  • 폐위된 비빈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폐위된 비빈 - 숙의 문씨 (영조)
    숙의 문씨는 영조의 후궁으로, 효장세자 빈전에서 영조의 승은을 입어 후궁이 되었으나, 사도세자 죽음에 관여했다는 평가를 받아 정조 즉위 후 사사되었으며, 영조와의 사이에서 화령옹주와 화길옹주를 낳았다.
  • 조선의 추존왕후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조선의 추존왕후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공빈 김씨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공빈 김씨
한글 표기공빈 김씨
한자 표기恭嬪 金氏
로마자 표기Gongbin Gimssi
봉작정1품 빈
출생일1553년 11월 16일
사망일1577년 6월 13일 (향년 23세)
묘소성묘, 경기도 남양주시
가문
본관김해 김씨
김희철
안동 권씨
혼인 및 자녀
배우자선조
자녀임해군
광해군
기타
사후 추증경렬명순자숙단인공성왕후 (추후 삭탈)

2. 생애



공빈 김씨는 1553년 김해 김씨 가문에서 김휘철과 안동 권씨 부인 사이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1] 조선 선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1572년 임해군(이진)을 낳아 숙의가 되었고, 1575년 광해군(이혼)을 낳아 귀인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아버지 김휘철이 의원으로 복무하다 전사하면서 광해군의 세자 자리가 위태로워지기도 했다.

선조는 공빈 김씨를 매우 아꼈으며, 산후병으로 사망하자 크게 애도했다. 공빈 김씨는 선조의 총애를 독차지하여 다른 후궁들은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다. 생명이 위독했을 때, 누군가 자신을 저주하고 있다고 말하며 선조에게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되었고, 자숙단인(慈淑端仁)이라는 시호가 더해졌다. 1615년에는 경렬(敬烈), 1616년에는 명헌(明獻)이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경렬명헌자숙단인공성왕후(敬烈明獻慈淑端仁恭聖王后)가 되었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왕후의 자리는 박탈되었고, 빈(嬪)으로 강등되었다.[2]

2. 1. 출생과 가계

1553년 11월 26일 강원도 원주에서 사포(司圃) 해령부원군(海寧府院君) 김희철(金希哲)의 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사섬시 첨정 김종수(金從壽)이고 증조부는 통례원 상례, 승문원 참교를 지낸 김세균이다. 안경공 김영정의 4대손이다. 김해 김씨(Gimhae Kim) 가문에서 김희철과 안동 권씨(Andong Kwon) 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 딸이었다.[1]

2. 2. 후궁 간택과 선조의 총애

선조의 총애를 받은 공빈 김씨는 1572년(선조 5년)에 선조의 서장자인 임해군을 낳았고, 1575년 서차자 광해군을 낳았다.[7] 다른 후궁들은 선조에게 외면당하기 일쑤였다.[17]

병이 위독해지자 선조에게 "궁중에 나를 원수로 여기는 자가 있어 나의 신발을 가져다가 내가 병들기를 저주하였는데도 상이 조사하여 밝히지 않았습니다. 오늘의 죽음은 상께서 그렇게 만든 것이니, 죽어도 감히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소연 하였다.[17]

이 말을 듣고 난 후 선조는 다른 후궁들에게 더욱 모질게 대하였다. 소용 김씨가 극진히 모셔 선조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소용 김씨는 왕에게 공빈의 허물을 자주 들춰내었고, 이 때문에 선조는 공빈을 애도하는 마음이 점점 작아지게 되었다. 훗날 인빈에 대한 선조의 총애는 이전에 공빈에 대한 것보다 훨씬 컸다고 기록되어 있다.[17]

2. 3. 죽음과 의혹

선조의 총애를 받던 공빈 김씨는 1577년(선조 10년) 음력 5월 27일에 산후병으로 사망하였다.[17] 그녀는 죽기 전, 누군가가 자신을 저주하고 있으며 선조가 이를 조사하지 않아 자신이 죽게 되는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17]

이후 소용 김씨선조에게 공빈의 허물을 자주 들춰내었고, 선조는 공빈을 애도하는 마음이 점점 작아지게 되었다고 한다.[17]

2. 4. 사후

공빈 김씨의 무덤인 성묘


이후 공빈 김씨의 아들인 광해군이 왕위에 올라, 그녀를 '''자숙단인공성왕후'''(慈淑端仁恭聖王后)로 추존하고 사당의 이름은 봉자(奉慈)라 하였으며, 능호는 성릉(成陵)이라 하였다.[18]

1613년 광해군은 책봉 주청사(策封奏請使) 박홍구(朴弘耉), 이지완(李志完)을 명나라에 파견하였다.[19] 1615년(광해군 7년) 경렬(敬烈), 1616년(광해군 8년) 명헌(明獻)이라는 존호가 각각 내려졌고, 1617년 광해군은 다시 책봉 주청사 김존경 등을 보내 명나라로부터 책봉고명을 받아왔다. 이로써 '''경렬명헌자숙단인공성왕후'''(敬烈明獻慈淑端仁恭聖王后)가 되었다.

1623년(광해군 15년) 3월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공빈 김씨는 빈으로 강등되었고, 왕후로서의 시호와 능호도 모두 추탈되었다. 다만 추숭 당시에 만들었던 석물들은 그대로 보존하였기 때문에 여느 왕릉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공빈 김씨의 묘인 성묘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5호로 지정되었다.[20] 묘소 아래에는 원래 있던 조맹(趙孟)의 묘가 있다.

2. 5. 추숭과 격하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어머니 공빈 김씨를 '''자숙단인공성왕후(慈淑端仁恭聖王后)'''로 추존하고 사당 이름을 봉자(奉慈), 능호를 성릉(成陵)이라 하였다.[18]

1613년 광해군은 책봉 주청사(策封奏請使) 박홍구(朴弘耉), 이지완(李志完)을 명나라에 파견하였다.[19] 1615년(광해군 7년) 경렬(敬烈), 1616년(광해군 8년) 명헌(明獻)이라는 존호가 내려졌고, 1617년 광해군은 다시 책봉 주청사 김존경 등을 보내 명나라로부터 책봉고명을 받아왔다. 이로써 '''경렬명헌자숙단인공성왕후(敬烈明獻慈淑端仁恭聖王后)'''가 되었다.

1623년(광해군 15년) 3월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공빈 김씨의 지위도 빈으로 돌아갔고, 왕후로서의 시호와 능호도 모두 추탈되고 격하되었다. 다만 추숭 당시에 만들었던 석물들은 그대로 보존되어, 다른 왕릉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공빈 김씨의 묘인 성묘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5호로 지정되었다.[20] 묘소 아래에는 원래 있던 조맹(趙孟)의 묘가 있다.

2. 6. 성묘

공빈 김씨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성묘이다.[3][4] 광해군이 즉위한 후 1610년(광해군 2년) 3월에 자숙단인공성왕후(慈淑端仁恭聖王后)로 추존되면서 능호는 봉자릉, 능에는 성릉이라는 호가 주어졌다.[5] 1613년에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이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였다.[8] 1616년(광해군 8년)에는 경렬명순이라는 존호가 더해져 최종 시호는 경렬명순자숙단인공성왕후가 되었다.[9]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관련된 모든 호가 폐지되었다. 공빈 김씨의 묘소도 능호를 잃고 '''성묘'''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외관은 왕실릉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문화재청에 의해 사적 제365호로 지정되어 있다.[10]

3. 가족 관계

아버지김희철
어머니안동 권씨
남동생김예직|金禮直한국어 (1565년 ~ 1623년)
남동생김의직 (생몰년 미상)
남편선조
아들임해군 이진(李璡)
아들광해군 이혼(李琿)


3. 1. 부모

공빈 김씨의 아버지는 김희철(1519년 ~ 1592년)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이다. 김희철은 임진왜란 때 전사하였고, 1610년(광해군 2년) 해령부원군으로 추증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삭탈되었다.[21]

가계
아버지김희철
어머니안동 권씨
남동생김예직|金禮直한국어 (1565년 ~ 1623년)
남동생김의직 (생몰년 미상)


3. 2. 형제


  • 동생: 김예직 (1565년 ~ 1623년)
  • 동생: 김의직 (생몰년 미상)

3. 3. 배우자

3. 4. 자녀

공빈 김씨의 자녀
작호이름생몰년배우자비고
장남 임해군진 (珒)1572년 - 1609년군부인 양천 허씨광해군 1년(1609년) 사사됨
차남 광해군혼 (琿)1575년 - 1641년폐비 유씨제15대 국왕, 인조반정으로 폐위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방영된 MBC 드라마 《허준》에서 박주미가, 2013년 MBC 드라마 《구암 허준》에서 장지은이, 2013년 MBC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에서 유신애가 공빈 김씨 역을 맡았다.[11][12][13]

4. 1.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선조수정실록 11권, 선조 10년 5월 1일 戊子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광해군일기[중초본] 106권, 광해 8년 8월 19일 정사 5번째기사 161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Seongmyo Royal Tomb, Namyangju http://english.cha.g[...]
[4] 웹사이트 성묘 (成墓)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6
[5] 문서 乙巳追尊私親恭嬪金氏爲慈淑端仁恭聖王后. 殿曰「奉慈」, 陵曰「成陵」 조선왕조실록
[6] 문서 納王子臨海君 珒 【金嬪之所出也. 嬪乃金希哲之女有寵. 以淑儀封嬪, 臨海君卽王子之長也.】 幣于許銘 【立身之初, 志操無稱, 主婚之日, 營求太煩.】 女. 조선왕조실록
[7] 문서 恭嬪 金氏卒. 嬪是司圃金希哲女. 生臨海, 光海二王子. 至是以産病卒. 金氏素有寵, 後宮無敢間幸. 及其病革, 訴于上曰. 宮中有仇我者, 取吾履隻, 詛呪病我, 而自上不覈發. 今日之死, 是上使然, 死不敢怨惡也. 上哀悼殊甚, 遇宮人多暴急. 昭容金氏 【後爲仁嬪】 曲爲調護, 頗揚嬪宿愆, 上不復哀念曰. 渠負予多矣. 自是, 金昭容特承寵遇而專房, 非前比矣. 조선왕조실록
[8] 문서 恭聖王后 策封奏請使朴弘耉, 李志完發行. 王旣追崇恭聖, 欲祔太廟, 問于鄭仁弘, 仁弘言 須奏天朝, 受天朝 策命, 然後方可議祔廟之事 조선왕조실록
[9] 문서 今番則依宣宗大王玉寶所刻, 以 敬烈明順慈淑端仁恭聖王后 寶書之, 而題主亦依次第書之, 似爲宜當. 조선왕조실록
[10] 웹사이트 성묘(成墓)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9-02-03
[11] 뉴스 [불후의명작 ④]‘허준’, 여배우들의 흥미진진한 매력 대결 http://isplus.live.j[...]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09-07-30
[12] 웹사이트 구암 허준 관련검색어 검색 출연 https://search.daum.[...] 2019-02-03
[13] 웹사이트 Goddess Of Fire Jeongi | Cast https://www.hancinem[...] 2019-02-03
[14]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15] 웹인용 《광해군일기》 106권, 광해군 8년 8월 19일 http://sillok.histor[...]
[16] 문서 추숭한 대왕의 존호는 경덕으로, 왕후의 시호는 흠헌으로 고치다 조선왕조실록
[17] 문서 선조 10년(1577 정축 / 명 만력 5년) 5월 1일(무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18] 문서 생모 공빈 김씨를 자숙 단인 공성 왕후로 추존하고 성릉이라 이름하다 광해군일기
[19] 문서 공성 왕후 책봉 주청사 박홍구·이지완이 길을 떠나다 조선왕조실록
[20] 웹사이트 성묘 https://terms.naver.[...]
[21] 문서 공성왕후와 해령부원군의 가족을 추증하다 광해군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